POST LIST

2019년 2월 3일 일요일

일본 방사능 문제가 해결되기 힘든 이유




NHK    등에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도쿄전력이 격납용기 내부를    카메라로 
촬영한 조사를  바탕으로 방사선량을 분석한 결과 원자로를 감싸고   
있는 원통형 콘크리트 격납 용기 내부에서 
시간당 최대 530 ㏜   의 방사선이 측정됐다.

이번(2017년) 측정값은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이듬해에 측정된  시간당 73㏜의 7배가 넘는 수치다   .

시간당 최대 530 ㏜은 옆에가면 즉사 수준



日 '3천2백만명이 방사능에 오염'[2015년 기준]
 
 
 
 
국제 녹십자의 발표에 의하면 후쿠시마 사태이후, 약 3천 2백만명의 일본인들이
방사능에 오염됐으며, 이는 체르노빌 사태의 천만명에 비해서 훨씬 높은 숫자다.

이는 꼭 단기간에 눈에 보이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장기간에 걸쳐 반드시
부정적인 영향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방사선의 세기가 절반으로 주는 데 걸리는 시간을 반감기라고 한다. 
우라늄-235은 반감기가 무려 7억년 에 달한다.
누출된 우라늄 235가 처음에 100의 방사선을 방출한다면 7억 년이 지나서야 50으로 떨어진다는 뜻이다.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방사성 물질

 알파선 방출
   우라늄 -235 
   플루토늄-238
   루토늄-239
   루토늄-240
   리슘-241

日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토 2233만㎥ "30년 후 전국에 분산 매립될 수도"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 7년이 지난 지금 방사능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토양의 처리문제가 난항을 겪고 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후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은 약 2233만㎥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 중 33㎥는 인근 7개 현에서 보관하고 있다.


13일 마이니치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 환경부는 후쿠시마현에서 발생한 ‘제염토(방사능 오염토)‘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나자 사고지 인근 도시에 임시 보관해 왔다.
그 후 쌓여만 가는 오염토 처리를 위해 매립을 검토하며 각 지자체의 동의를 구하고 나섰다.
방사능 오염토는 사고 발생지인 후쿠시마현에 약 2200만㎥, 인근 7개 현에 약 33만㎥가 보관되고 있다.
이 오염토는 일본 정부의 ‘방사성 물질 오염 대처 특별조치법(이하 특별조치법)‘에 따라 해당 지자체가 처분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오염토 매립을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일본 환경부는 53개 ‘시정촌(한국 시도읍에 해당)‘에 공문을 보내 방사능 오염토 매립에 관한 의견을 청취, 16%인 10개 지자체에서 매립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매립을 검토하지 않는 지자체는 ‘주민 불안과 거부감’의 이유로 매립이 어렵다며 제염 작업에 사용된 오염토의 안정성을 알리지 않는 등 오염토 매립으로 인한 이해할만한 설명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 속 검정 비닐에 방사능 오염 토양이 들어 있다. 단순 눈으로 봐도 그 양이 많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은 약 2233만㎥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특별조치법에 따르면 오염토는 오는 2050년까지 후쿠시마현 외부로 반출하여 최종 처분해야 한다.
이에 일본 정부는 오염토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방사선량이 낮게 측정된 오염토를 재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오염토를 건축용지나 꽃밭 조성 등 시민들이 사용하는 공간에 사용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방사선 피폭과 농업, 관광산업에 피해를 우려한 주민 반대로 결국 무산됐다.
오염토 재활용을 계획한 환경부 관계자는 “주민 반대로 무산됐지만 방사능 오염토 재사용 계획은 포기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방사능 오염토는 30년 후 처분해야 한다”며 “오염토 재사용 계획은 생명이 긴 대처 (장기간 계속되는 방안)임을 이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hare:

Related Posts:

댓글 없음:

댓글 쓰기